본문 바로가기
중소기업이 불경기에서 살아남기 위한 비용 관리 방법 어느덧 2024년의 마지막 4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곧, 올해의 매출과 비용이 확정되는 12월말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뜻이기도 하죠. 그런데 요즘 보면 경기가 어려워 폐업하는 사업자 분들이 정말 많은데요. 주로 하시는 말씀이 “물가인상으로 고정비가 늘어 더는 못 버티겠다”는 것입니다. 이 말은 즉, 매출은 계속 나오지만 비용 제하고 나면 남는게 없다는 말인데요. 이런 경우에 가격 책정이 잘못된 것은 아닌지, 불필요하게 지출되는 비용이 있는지를 우선 점검해봐야 합니다. 매출 : 판매자의 입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의 결과 매출은 쉽게 말해 사업으로 내가 벌어들이는 돈입니다. 세금 보고 측면에서 이 매출은 부풀려서도 안되고 축소해서도 안됩니다. 대출 승인 등의 목적으로 가공매출을 일으켜 신고.. 2024. 10. 30.
일부 공실인 임대 부동산을 매매할 때의 포괄양수도 문제 (부가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부가가치세가 과세되지 않기 떄문에 부가세를 신경쓰지 않지만, 주택이 아닌 부동산을 양도시에는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상가 등 업무용으로 사용 중인 건물, 오피스텔(업무용) 등이 그 대상이고, 건물분 양도가액의 10%만큼 부가가치세가 과세됩니다. 오피스텔이야 통으로 매각하는 경우가 아니면 거래대금이 크지 않지만, 건물은 거래대금이 상당히 큰 편이기 때문에 부가가치세는 엄청난 부담이죠. 이런 경우에 부가가치세법상 포괄양수도 요건을 갖춘다면 부가가치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조) 건물 매매시 적용되는 사업의 포괄양수도주택에 대한 규제가 너무 심해지다보니, 꼬마빌딩 매매거래가 상당히 많았었죠. 서울의 경우 주택 가격이 한채에 30억원이 넘는 .. 2023. 1. 13.
[법인, 개인사업자] 4월과 10월에도 부가가치세를 신고 납부해야 하는 사업자들 보통 세금은 1년을 단위로 과세된다고 생각하시는데요, 법인세와 소득세가 대부분 1년 단위로 과세되기 때문이죠. 그러나 부가가치세는 6개월을 1과세기간으로 하여 세금 신고, 납부가 있는 세목입니다. (간이과세자는 예외) 또 이 6개월을 다시 절반으로 쪼개 그 첫 3개월을 "예정신고기간"이라 하여, 그 기간의 세액을 미리 납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1/1 ~ 3/31, 1기 예정신고기간에 대한 세액은 4/25일까지 6/30 ~ 9/30, 2기 예정신고기간에 대한 세액은 10/25일까지 신고, 납부해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세액을 자진해서 신고, 납부하지 않고 국세청에서 고지해준 대로 납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예정신고 대상 사업자 ▶ 법인사업자 중 직전 과세기간 공급가액 합계가 1억.. 2022. 4. 17.
임대료 (월세) 카드 결제시 부가가치세 과세 문제 갈수록 현금 사용 비중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신용카드 한장만 있으면 모든 물건을 살 수 있죠.현금 사용시에는 받을 수 없는 카드사 청구할인이나 무이자 할부 혜택 등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임대료는 매달 또는 매년도 마다 규칙적으로 지급이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많은 카드사나 핀테크 업체들이 임대료 카드 결제 시장에 뛰어들어 경쟁하고 있기도 하죠.​오늘은 임대료 (월세)를 신용카드로 결제 받는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 문제가 어떻게 되는지 간단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년치 임대료를 신용카드로 결제받은 경우1년치 임대료를 신용카드로 한번에 결제하겠다는 임차인들이 있습니다. 특히, 연말에 많은데요.이런 경우 임대인 (건물주)은 부가가치세 신고를 어떻게 해야할까요?​원래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계.. 2022. 2. 21.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임대 간주임대료 비교 정리 (법인 vs 개인), 23년 기준 (23년부터 변경된 예금이자율 개정내용 반영) 과거에는 법인을 설립하여 주택 임대업을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법인세율이 개인 양도소득세율보다 낮고, 법인이 보유한 주택은 그 주주 개인이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않으므로 주택수에도 산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양도세와 재산세, 종부세 모두 마찬가지 입니다. 지금도 위의 장점들은 유효하지만,2022년 현재 법인이 주택을 취득하면서 내는 취득세가 12% 로 인상됐고, 종부세 과세표준 공제 (개인은 11억 또는 6억 공제) 가 배제되며, 법인세율도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기본세율에 20%p 가산하여 과세되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법인으로 주택 임대사업을 하는 것은 메리트가 많이 떨어진 것이 사실입니다. 주택을 임대하고, 여기서 얻는 임대소득에 대해서 법인.. 2022.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