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받은 주택에 대한 종부세 과세기준 (22.2.15. 시행령 반영) 2022년 2월 15일 '21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이 공포되었는데요,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에서 2022년 1월 6일 발표한 시행령 개정안에 포함되었던 「상속주택의 주택수 제외 요건 합리화」 규정이 22년 2월 15일 부터 적용됩니다.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주택분 종부세의 세율종부세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입니다. 즉, 6월 1일 현재 보유한 주택현황에 따라 과세되는 것이죠.종부세는 보유한 주택수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1. 0.6% ~ 3% 세율이 적용되는 경우 조정, 비조정지역 불문하고 주택을 오직 1채만 소유 조정대상지역에 1채 + 비조정대상지역에 1채 소유 비조정대상지역에 2채 소유이 경우 세율 구간 0.6% ~ 3% 를 적용받고, 세부담 상한율 .. 2022. 2. 16. 가장 안전하게 상속세 공제 혜택 받는 방법 과거에는 상속재산이 대부분 10억원에 미치지 못하여 상속세를 신경쓰지 않아도 됐지만,자산가치가 계속 상승하면서 상속세 신고 대상자가 많이 늘어났고, 관련된 상담도 많습니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상속세 신고인원이 약 1만1500명으로 2019년대비 20.6% 가 늘었다는 기사도 보이네요.2021년은 2020년보다 더 많이 늘어났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2년 1월 현재 상속세 세율은 과세표준 구간별로 10% ~ 50% 입니다.여기서 상속세 과세표준을 계산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피상속인 (고인) 이 사망일 현재 가지고 있는 모든 자산들의 평가액 (-) 각종 공과금, 장례비용, 채무 (+) 고인이 사망일 전 10년 이내 자녀 등에게 증여한 재산가액 (+) 고인이 사망일 .. 2022. 1. 27. 아파트 상속시 감정평가 받는게 유리할까? 지난 수년간 이어진 집값 상승으로 고가주택 기준인 9억원 (현행 양도소득세)을 초과하는 아파트들이 많아졌습니다. 예전 같은 경우 수도권 내 아파트 1채만 보유했다면 이를 양도해도 양도소득세 부담이 없기에 세금을 신경쓰지 않았지만, 지금은 대부분 양도소득세가 발생하기에 세금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상속 또한 마찬가지인데요.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가 많지 않던 시절에는 상속세 신고시 유사매매사례가액 (같은 아파트 단지내 기준시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호수의 가까운 날의 실거래가) 을 적용해 신고해도 세무상 리스크와 상속세 부담이 크지 않았습니다.그러나 최근 아파트 가격이 많이 상승하면서, 부모님께서 평생 거주해오신 아파트 1채만 상속받는 경우에도 상속재산가액이 20억, 30억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졌죠.더욱이.. 2021. 10. 31. 이전 1 2 3 다음